2027년까지 2,000개 유망 SaaS 기업 성장 단계별 지원 예정
[아이티데일리] 지난해 정부는 침체된 경제를 진흥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중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의 이목을 끈 사업이 있었다. 바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허성욱, 이하 NIPA)이 추진하고 있는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이하 클라우드 플래그십)’다.
2020년부터 진행된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현재까지 144개 기업이 참여해 각 분야 산업에 클라우드 도입‧확산을 지원해 클라우드 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성과를 짚어보고, 올해 진행될 사업을 조명해본다.
[클라우드 플래그십 ①] 핵심 산업군 클라우드 확산으로 산업 경쟁력 확대
[클라우드 플래그십 ②] 지난해 52개 SaaS 개발 기업에 250억원 지원
지난해 52개 SaaS 개발 기업에 250억원 지원
지난해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디지털워크 △디지털헬스 △지능형물류 △스마트제조 △환경‧에너지 등 5가지 핵심 산업이 선정됐다.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사는 네이버클라우드와 디딤365 컨소시엄이 인프라 경쟁력, 사업화 지원, 동반성장 계획을 중심으로 사업 수행능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총 25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고, CSP에게는 부문별 1개 과제당 최대 5억 원이, SaaS 개발기업에 부문별 10개 과제당 4.25억 원이 배당됐다.
먼저 디지털워크 부문의 경우 협업도구(메신저, 화상회의 등), 지원관리(ERP, CRM 등) 서비스 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해 업무 생산성을 향상하고 소통과 협업을 강화하는 등 업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SaaS를 개발해야 했다.
SaaS 개발사로 참여한 기업은 ‘아이오아이소프트’, ‘알서포트’, ‘디엘정보기술’, ‘크리젠솔루션’, ‘슈어소프트테크’, ‘윤커뮤니니케이션즈’, ‘와이즈넛’, ‘딥파인’, ‘이든티엔에스’, ‘지후소프트’, ‘나무소프트’ 등 11곳이다.
다음으로 디지털헬스 부문은 건강관리, 의료지원에 초점이 맞춰졌다. 개발하는 SaaS에는 의료기관 내 의사와 환자의 대면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하는 기능이 탑재돼야 하며, 개인의 질병예방‧만성질환 관리 기능을 갖춰야 했다. ‘테크하임’, ‘비씨앤컴퍼니’, ‘제나’, ‘성민네트웍스’, ‘쓰리디산업영상’, ‘디지털존’, ‘글로벌비즈텍’, ‘에스씨티’, ‘세븐포인트원’, ‘메디칼스탠다드’, ‘이유엔’ 등 11곳의 기업이 네이버클라우드의 인프라를 활용해 SaaS를 개발했다.
세 번째 산업 부문인 지능형물류의 경우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기능을 갖춰야 했다. 최적화된 운송 경로를 탐색하고 자동화된 물류 프로세스로 공급망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됐다.
디지털워크‧헬스 산업과 마찬가지로 네이버클라우드의 인프라가 제공됐고 ‘큐빅테크’, ‘메타리버테크놀러지’, ‘메디치소프트’, ‘현대무벡스’, ‘임픽스’, ‘엠아이큐브솔루션’, ‘무른모’, ‘유비씨’, ‘글래스돔코리아’, ‘모빅랩’ 등 10개 기업이 참여해 SaaS를 개발했다.
네 번째는 스마트제조 부문이다. 생산공정(전자분야) 지능‧자동화를 목표로 원격제어, 이상동작 탐지, 예지 정비 등 기능을 갖춘 SaaS를 개발해야 했다. 여기에도 네이버클라우드의 인프라가 제공됐고 ‘양재아이티’, ‘이트너스’, ‘니어솔루션’, ‘리드포인트시스템’, ‘퍼스트알앤디’, ‘엠투클라우드’, ‘엠투엠테크’, ‘알엠테크’, ‘웹프라임’, ‘지엘티코리아’ 등 10개 기업이 SaaS를 개발했다.
마지막으로 환경‧에너지 부문이다. 에너지 효율화와 자원 순환을 목표로 에너지 절감, 지속가능한 환경을 고려해 친환경 서비스를 개발해야 했다. 이를 통해 환경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기여해야 했다. 네이버클라우드의 인프라가 제공됐고 ‘유호스트’, ‘와이티’, ‘씽크포비엘’, ‘트로닉스’, ‘시너지’, ‘비비엠씨’, ‘미래융합정보기술’, ‘이아이피그리드’, ‘랩오투원’, ‘스마트포트테크놀로지’ 등 10개 기업이 주제에 맞는 SaaS를 개발했다.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2020년~2022년 참여기업
지난해 사업 성과, 큰 폭 향상
2022년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2020년, 2021년에 비해 성과가 크게 향상됐다. 57개의 지원과제를 통해 발생한 매출(2022년 12월 기준 최종 매출액)이 국내에서는 129억 9,000만 원을, 해외에서는 2억 4천만원을 기록하며 총 132억 3,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참여 기업들은 총 430명의 신규 직원을 채용했고, 815건의 계약도 체결했다. 아울러 45억 9,000만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고, 50여건의 특허도 취득했다.
2020년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제조(기계) △물류(육상) △헬스케어 등 3개 산업분야가 선정돼 각각 10개, 13개, 15개의 과제가 진행됐다. 제조의 경우 생산공정(부품‧소재) 지능‧자동화 SaaS가 개발됐고, 생산 공정에서의 휴먼 에러로 인한 품질 저하 예방과 불량률 개선에 초점이 맞춰졌다. CSP 참여기업은 없었고, ‘포스아이’, ‘에이치에스소프트’, ‘지노텍’, ‘유플렉스소프트’, ‘이즈파크’, ‘건솔루션’, ‘씽크포비엘’, ‘애드포시스’, ‘위미르’, ‘데브스택’ 등 10개의 SaaS 개발사가 참여했다.
물류 부문에서는 물류정보관리 및 위험 방지에 무게를 두고 미니멈 컨택트화로 생산성 향상 및 집단 감염위험 극복 등 물류 현장 작업자와 국민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SaaS를 개발해야 했다. KT가 CSP로 참여했고 ‘제이솔루션’, ‘씨벤티지’, ‘리테일테크’, ‘엔엠소프트’, ‘서현ICT’, ‘우림인포텍’, ‘에스씨엠이노’, ‘에스씨엠케이’, ‘에이치엔에스커뮤니케이션’, ‘로지스퀘어’, ‘프리오’, ‘양재아이티’, ‘이앤씨지엘에스’ 등 13개 기업이 SaaS를 개발했다.
다음으로 헬스케어 부문에서는 건강관리와 의료지원에 역점을 뒀다. 의료기관 내 대면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질병예방과 만성질환 관리 기능을 갖춘 SaaS를 개발해야 했다. 당시 CSP로 NHN이 참여했고 ‘티엔에이치’, ‘메디블록’, ‘이지케어텍’, ‘엠시스텍’, ‘글로벌비즈텍’, ‘굿닥’, ‘테크하임’, ‘피플앤테크놀러지’, ‘성민네트웍스’, ‘코어라인소프트’, ‘유투바이오’, ‘씨알에스큐브’, ‘지비소프트’, ‘플레시온’, ‘쓰리디산업영상’ 등 15개 기업이 SaaS를 개발했다.
2020년 사업에서 총 10억 1,652만 원의 매출과 367명의 신규 채용 성과를 거뒀다.
2021년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경우 △금융 △제조(전자) △물류(항만) △에너지 등 4개 산업 부문이 선정됐고 각각 10개, 11개, 11개, 11개의 과제가 진행됐다. 금융 산업의 경우 비대면금융거래에, 제조 산업은 생산공정 지능‧자동화에, 물류 산업은 경로 최적화 및 운송 프로세스 관리에, 에너지 산업은 에너지 소비 관리에 초점을 맞춰 SaaS 개발이 진행됐다.
NHN이 금융과 제조를, 네이버클라우드가 물류를, 가비아가 에너지 산업군을 각각 담당했다. 2021년 사업에서는 47개의 지원과제를 통해 총 37억 3,583만 원의 매출과 389명의 신규 채용 효과를 올렸다.
2022년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사업 성과를 지난 1, 2차와 비교하면 크게 좋아졌음을 알 수 있다. 2021년에 비해 94억 9,562만 원, 2020년에 비해서는 122억 1,490만 원이 늘어났다. 아울러 사업과 관련한 신규 직원 채용의 수도 367명에서 389명, 430명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재현 기자 pajh0615z@itdaily.kr
Comments